1기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및 납부 기간은 4월 1일~ 4월 25일입니다.
이에 따라 부가가치세 신고기간과 확정신고, 예정신고, 예정고지의 차이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확정신고 과세기간
과세기간은 크게 1기와 2기로 나뉩니다.
1기 과세기간 : 01.01. ~ 06.30.
2기 과세기간 : 07.01. ~ 12.31.
이렇게 반기로 나뉘는데, 각 과세기간이 끝난 다음 달의 25일까지 부가가치세를 확정신고해야 합니다.
따라서 제1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및 납부기간은 7월 1일 ~ 7월 25일이 되는 것입니다.
또한 제2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및 납부기간은 다음 해 1월 1일 ~ 1월 25일이 됩니다.
그런데 법인사업자는 개인사업자보다 매출액이 큰 편입니다. 따라서 반기마다 부가가치세를 납부하게 된다면 한 번 납부할 때 법인에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. 또한 법인사업자의 경우 부가가치세 환급금도 크기 때문에 법인의 현금흐름을 돕는 차원에서 법인에 대해서는 총 4번의 신고의무가 있습니다.
예정신고 과세기간
예정신고 과세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.
1기 예정신고 과세기간 : 01.01. ~ 03.31
2기 예정신고 과세기간 : 07.01. ~ 09.30.
신고 및 납부기간은 역시 각 과세기간이 끝난 다음 달 25일까지로 1기 예정신고 및 납부기간은 4월 1일 ~ 4월 25일, 2기 예정신고 및 납부기간은 10월 1일 ~ 10월 25일이 됩니다.
예정고지
그러나 모든 법인이 예정신고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. 직전 과세기간 공급가액 합계액이 1억 5천만 원 미만의 법인사업자는 예정신고 의무가 없습니다.
예정신고 의무가 없는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는 예정고지를 받게 되는데요. 이때 직전 과세기간 납부세액의 50%를 고지받게 됩니다. 아무래도 예정신고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라 신고의 번거로움 및 세무사 신고 비용을 법인사업자보다 줄일 수 있습니다.
그런데 예정신고 의무가 없는 모든 사업자가 예정고지를 받는 것도 아닙니다.
신규사업자와 예정고지금액이 50만 원 미만인 사업자, 그리고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변경된 사업자는 예정고지 납부의무도 제외됩니다.
정리하자면 예정신고 의무
이번달은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및 납부기간이니 예정신고 대상자는 신고 잘하시고, 예정고지받은 사업자 분들은 납부를 잘하시어 가산세를 부담하는 일이 없도록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!
'부자되기 > 세금 아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직장공제회 초과반환금 세금계산법 (19) | 2023.06.07 |
---|---|
종합소득세의 구조 (15) | 2023.04.06 |
부가가치세의 구조 (14) | 2023.03.26 |
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주택가격 적용방법 (16) | 2023.03.13 |
근로장려금 안내 (21) | 2023.03.08 |
댓글